top of page

가리비 칼로리ㅣ효능ㅣ영양성분ㅣ보관방법

  • kimyc
  • 2023년 11월 17일
  • 2분 분량

가리비 칼로리, 효능, 영양성분, 보관방법
가리비 칼로리, 효능, 영양성분, 보관방법


날씨가 추워지면 더욱 조개구이가 생각이 난다. 특히 이쯤되면 가리비가 제철을 맞이해서 너무 맛있는 시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가리비 칼로리ㅣ효능ㅣ영양성분ㅣ보관방법 -목차-



 


Ⅰ. 가리비 제철

가리비 제철은 11~12월이라고 할 수 있으며, 주식이 '플랑크톤'이기 때문에 양식으로 용이하고, 이로 인해서 저렴한 편에 속해서 우리가 흔하게 시중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조개류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Ⅱ. 가리비 칼로리

가리비의 칼로리는 100g 당 50kcal로 매우 낮은 열량을 가지고 있다. 또한 지방 함량도 굉장이 낮고, 단백질 함량이 매우 높은 식품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따. 그렇기 때문에 체중감량(다이어트)을 하게 되면 부족한 성분을 채울 수 있는 것 중 하나라고 할 수 있기 때문에 체중감량을 하시는 분들이 부담없이 즐길 수 있는 음식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탱탱하면서 쫄깃한 식감으로 인해 가열을 하지 않더라도 회로 먹을 수 있고! 구이, 탕, 찜 등 각종 수 많은 요리에 접목을 시켜 볼 수 있는 재료라서 동서양을 불문하고 인기 좋은 해산물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맛도 맛이지만, 영양성분도 우수함을 보이고 있는 수산물이라고 알려져 있는 만큼 효능과 영양성분을 모르고 먹는 것 보다는 알고 먹는 것이 배가 될 것 같다.


Ⅲ. 가리비 영양성분

조개류에는 칼슘이 매우 풍부하다. 역시 가리비도 칼슘이 풍부하게 들어있기 때문에 골밀도를 높여주며, 뼈를 튼튼하게 만들어주는데 도움이 된다고 한다. 그리고 골다공증을 예방할 수 있으며 성장기 어린이들에게도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다고 한다. 뿐만 아니라, 칼륨도 매우 풍부한데,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춰주고 있다고 합니다.


또한, 철, 인(p), 비타민B1, 비타민B2, 마그네슘, 단백질, 나이아신, 나트륨, 칼륨 등이 모두 풍부하게 포함되어 있다. 탄수화물과 지방량이 거의 0에 가깝다고 알려져 있고, 껍질을 제외 한 나머지 관자와 살의 무게를 계산해 보았을 때, 100g 당 2.50mg 정도의 아연이 들어있다고 합니다.


하루, 아연 권장량 중 25% 정도에 해당하는 수준이라고 하고, 많은 양의 아연이 포함되어 있는 해산물 중 하나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단백질 같은 경우, 100g 기준으로 13g 정도가 들어있는데, 단백질 보충을 위한 음식으로도 손색이 없는 식품으로 알려져 있으며, 다른 조개류에 비하면 적은 열량을 나타내고 있는 특징을 갖고 있다.


Ⅳ. 가리비 효능

혈관속에 존재하는 노폐물도 배출을 할 수 있는데, 특히 짠 음식을 많이 먹고 있는 우리에게는 나트륨을 배출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있어서 혈압을 완화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그리고 역시나 어패류에 빠지지 않고 등장을 하게 되는 "타우린"도 있습니다.


피로물질이라고 할 수 있는 젖산을 제거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하며, 간기능을 원활하게 만들어주고 간기능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합니다. 특히, 술을 마신 후, 숙취해소에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Ⅴ. 가리비 보관방법

해산물은 신선함이 생명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오랫동안 보관을 해둘 수 없어서 최대한 빨리 먹을 수 있는 만큼 구입을 하여서 소진을 하는 것을 권장한다고 합니다. 혹시라도 남는 양이 생기게 된다면, '냉동실'에 바로 넣어주는 것이 좋은데요.


  1. 해감을 시키고 깨끗하게 세척을 한다.

  2. 지퍼백이나 밀폐 용기 안에 담아 냉동실에 보관한다.

  3. 냉동으로 보관을 할 수 있는 시간은 대략 40~50시간 정도로 알려져 있지만, 무엇보다 신선도가 생명이라는 어패류라고 할 수 있기 때문에 아무리 냉동으로 보관을 해두어도 부패할 수 있는 확률이 높다.


아무리, 냉동으로 보관을 하셨더라도 음식을 하시기 전에는 꼭! '색깔과 냄새'를 확인해서 변질이 되었는지 확인 후, 먹는 것을 권장합니다.



 


 


コメント


bottom of page